분류 전체보기 664

‘24 제주 7일 아르떼 뮤지엄

제주에서 마지막날. 찬란한 새날 새 아침을 맞이한다.제주의 일출 광경은 장소에 따라 다른 장면을 연출한다.대구행 오후 비행기라 시간적 여유가 있어 어디라도 가야만 할 것 같은데 막상 짧은 여유시간을 즐길만한 장소가 없다. 결국 아르떼뮤지엄으로 가기로 한다. 아르떼뮤지엄은 옛 국가 기간 통신시설이었던 벙커를 국내 유일 몰입형 예술 전시관으로 재탄생 곳으로 1,000평 규모의 전시장 전체를 몰입형 예술 전시 공간으로 다시 만들어 관람자와 작품이 하나가 되는 완벽한 몰입의 경험을 할 수 있다.실내는 가히 환상적인 찬란한 빛의 축제가 열리고 있다. 관람객 참여프로그램도 있어 해보고 싶은 마음이 동하여 동심으로 돌아가 그림도 그리고 색칠도 하면서 참여해봤는데 재미가 솔솔 했다. 무료로 제공해 주는 찻잔을 테이블..

‘24 제주 6일 천지연폭포

올레 하우스 루프탑 독채에서 따뜻한 저녁 보내고 모닝 커피한 잔 한다. 두 잔 정도 드립할 수 있는 커피와 드립 도구가 제공된다. 살살 올라오는 커피 향에 취하며 오랜만에 그라인더로 커피를 갈면서 손 맛을 느낀다.올레스테이 본관에서 아침 메뉴로 죽을 실비로 제공해 주지만 아침은 신관 옆 식당에서 간단히 해결하고 올레길 트래킹 때 가보지 않았던 천지연 폭포로 간다. 폭포 근처에서 본 동백꽃.위미 동백 군락지의 애기 동백이라 불리는 겹동백과는 다르다. 그보다 더 붉은 홑동백, 강정마을에서 본 그 동백. 피가 뚝뚝 떨어지듯 꽃이 지는 모습은 너무 처절하여 4.3의 아픔을 지닌 제주의 꽃이라 생각한다. 2017년 올레길 걷기 시작해서 매년 제주를 방문했으나 천지연 폭포는 처음이다. 40여 년 전 대학 졸업 여행..

‘24 제주 5일 _우도

우도 가는 날.제주 올때마다 날씨가 도와주지 않아 매번 실패했는데 드디어 갈 수 있으려나?성산포항 출발 약 15분 후 우도 도착. 배만 타면 금방인데여기까지 오는데 몇 년이 걸렸네.선착장 앞 우도 짜장면과 해물 짬봉으로 점심부터 해결한다. 맛집인지는 모르겠으나 맛은 좋은데 가격이 조금 사악하다. 섬안의 섬이라 이해한다.우도 올레길 완주할 만큼 시간이 충분치 않아 우도 해안길 따리 걷기로 했다. 바람도 많이 불어 체감 온도가 낮아 춥긴 했지만 걷기에는 괜찮다. 멀리 성산 일출봉이 보인다. 우도 해안길을 따라가다보면 훈데르트 바서 파크가 있다. 훈데르트바서는 오스트리아의 건축가, 화가, 환경운동가로 오스트리아 빈 여행 시 훈데르트바서 하우스에 가 본적이 있어 우도에서 만나니 반갑고 신기했다. 여기는 우도..

‘24 제주 올레길 4일 :비자림숲

실패한 계엄으로 연일 불안한 가운데 여행이라 마음이 마냥 가볍지는 않다. 일상의 중요함을 새삼 느낀다.월정리 아침은 잔뜩 흐리다. 비가 오려나? 검색으로 알아낸 맛집에서 김치찌개로 아침을 든든히 먹는다. 아침 메뉴를 두고 딸과 아비가 줄 당기다 결국 아비가 줄을 놓는다. 지금이 화양연화라 생각하지만 이번 여행을 통해 주도권은 자식 세대로 넘어가고 있음을 깨닫는다. 언젠가는 놓아야 하는데 그 시기를 알게 되어 다행이다.트래킹 마지막날이라 걸어서 렌터카를 받으러 가기로 했는데 시작부터 강풍에 비가 뿌린다. 근처 편의점에 들러 비도 피하고 커피도 한잔 하고. 비가 와도 아름다운 제주. 결국 버스 타고 가서 렌터카 받았다.세화리 노포. 청국장이 맛있다. 직접 만드는데 짚을 넣어 전통 방식으로 띠운다. 허기와 추..

‘24 제주 올레길 3일-19,20코스

제주여행 3일 차. 오늘도 걷는다. 다행히 날씨는 그다지 춥지 않다. 19코스 함덕 서우봉에서 시작한다.중간중간 어린이집 아이들이 만든 격려 피켓이 힘을 북돋운다. 계속 언덕이라 힘들게 올라가다 멈추어 아름다운 제주를 바라보며 잠시 힘듦을 잊는다.제주 4.3 기념관에 들러 관련 영상과 전시물을 관람한다.희생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벽걸이. 가슴이 먹먹하다. 이유도 모르게 죽임 당한 이들을 위해 잠시 묵념을 올린다.20코스 도착. 오늘의 목적지는 월정리. 걷고 또 걷는다. 아무 생각 없다. 그래서 걷기 좋아한다.그대로 명상이기 때문이다. 월정리에 도착. 어느 듯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는 아름다운 월정리. 바다를 좋아하는가? 자문 해 본다.일주일 여정 중 올레 걷기 미션이 끝났다. 내일 부터 여행 모드. 발길 가..

‘24 제주 올레길 2일-18코스(12/12)

제주 라마다 호텔 바다뷰는 거의 북향이라 일출 볼 수 없지만 새날을 여는 컬러풀한 하늘색의 조화가 오묘하다. 18코스로 가던 중 관덕정 건너 인도에 옛 관덕정 모습의 타일이 눈에 들어온다. 신박하다 생각했는데 많은 사람들이 밟고 지나다니다 보면 온전히 유지가 될까 싶기도 하다. 만들 때 이런 우려도 감안했으리라!오늘 예정된 18코스에서 19코스 함덕까지 좀 장거리라 18코스 시작점에서 화북포구까지 택시로 이동하고, 여기서부터 걷기 시작했다. 금돈지물은 화북포구 가운데에서 솟아나는 제주 용천수로 포구를 이르는 말인 금돈지에 '-물'을 붙인 이름이다. 이 산물은 식수로 이용되었으며, 예전에는 물놀이 공간으로 이용했다고 한다.연대는 봉수와 함께 통신을 담당했던 옛 군사시설.뷰 좋은 카페에서 카페인 수혈하며 쉬..

‘24 제주 1일(12/11)

잠시 직장을 쉬고 있는 딸이 제주 여행을 제안한다. 올레길 걷고 싶단다. 가자! 나도 걷고 싶었으니까. 올레길은 명상길이다. 연일 쏟아지는 뉴스, 불안한 정치, 경제 속에서 앞을 예측할 수 없는 불안함과 망설임도 있었으나 그냥 가기로 한다. 12월 11일부터 17일까지 여정이다. 김포 공항은 처음이다. 생각보다 커서 좀 놀랐다. 국내선은 주로 제주행인 듯하고 거의 만석으로 출발이다. 하늘에서 본 다도해는 속절없이 평화롭고 아름다워 슬프다. 이런 자연환경을 가진 아름다운 나라, 대한민국이다.내려다보는 겨울의 제주는 흑백 스테인드글라스 같다. 그 위로 공중 부양한 구름 그리고 조각 퍼즐 같은 제주는 고요하다.제주는 변함없구나. 또 하루가 태양과 함께 뉘엿뉘엿 넘어간다.내일부터 걷는다. 1년 만의 트래킹이라 ..

오페라 ‘광란의 오를란도’

제21회 대구국제오페라 축제 두 번째 작품이다. 비발디의 바로크오페라 인데 대한민국초연이다. 비발디의 오페라 작품이 있었다니! 카운터테너, 콘트랄토 가수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고, 이탈리아 페라라시립오페라극장의 최신작이라 하고 바로크 오페라 관람은 처음이라 더욱 기대를 가져본다. 시인 루도비코 아리오스토의 서사시를 바탕으로 한 ‘광란의 오를란도’는 공주 ‘안젤리카’를 향한 주인공 ‘오를란도’의 사랑을 향한 광기어린 집착과 훗날 데스테가의 시조가 되는 ‘루지에로’와 ‘오를란도’의 사촌 여동생 ‘브라다만테’의 사랑 이야기가 중심이다. 배경 지식이 없어 내용을 이해하는데 약간 어려움이 있었으나 특별한 관람이었다. 1막 안젤리카는 오를란도에게 쫓기다 마녀 알치나의 궁전으로 도망간다. 그녀는 알치나에게 자신이 ..

세상모든음악 2024.10.30

오페라 ‘장미의 기사’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장미의 기사를 시작으로 제21회 대구 국제 오페라 축제가 열린다. 국내, 아시아, 세계 최초 공연도 있어 기대된다. 공연일정 10월 12일 비발디 오페라 10월 18, 19일 10월 25,26일 주세페 베르디 11월 1,2일 주세페 베르디의 11월 8일 폐막 공연 푸치니 오페라 갈라 작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대본 휴고 폰 호프만슈탈 원작 몰리에르의 (푸르소나크씨〉 배경 18세기 중반 빈, 마리아 테레사 통치 시대 초연 1911.1. 26 독일 드레스텐 궁정 오페라극장 형식 3막 1막 서른두 살의 후작부인 마샬린과 그녀의 정부인 열일곱의 옥타비안은 침실에서 은밀한 사랑을 나누고 있다. 이때 마샬린의 친척인 옥스 남작이 등장하자 놀란 옥타비안은 하녀로 변장하여 나타나고 바람둥이 옥스는 ..

세상모든음악 2024.10.12

발레 돈키호테

발레 돈키호테 공연이 대구 오페라 하우스에서 있었다. 발레는 기회가 많지 않은 데다 국립 발레단이라 기대를 해본다. 음악 Ludwig Minkus 원안무 Marius Petipa 재안무 송정빈 각색 정다영 작곡 및 편곡 김인규 무대 및 의상 Luisa Spinatelli 조명 고희선 무대 및 의상 어시스턴트 Monia Torchia 무대막 작화 Paolino Libralato 의상제작소 Compagnia Italiana della Moda e del Costume - Milan, Italy 출연 국립발레단 단장 겸 예술감독 강수진 대한민국의 발레를 대표하는 국립발레단은 1962년에 창단된 최초의 직업발레단으로 국내 최고의 무용수들과 함께 세계 유명 작품을 레퍼토리로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유..

세상모든음악 2024.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