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금강경

제13분-How this Teaching should be Received and Retained

흐르는물처럼~ 2008. 10. 27. 15:54

At that time Subhuti addressed Buddha,saying. World-honoured one,by what name should this Discourse be known,and how should we receive and retain it?

Buddha answered: Subhuti, this Discourse should be known as "The Diamond of the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 thus should you receive and retain it. Subhuti,what is the reason herein? According to the Buddha-teaching the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is not really such.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is just the name given to it. Subhuti,what do you think? Has the Tathagata a teaching to enunciate?

Subhuti replied to Buddha: World-honoured one,the Tathagata has nothing to teach.

subhuti, what do you think? Would there be many molecules in 〔the composition of〕 three thousand galaxies of worlds?

Subhuti said: Many,indeed,World-honoured one!

Subhuti, the Tathagata declares that all these molecules are not really such; they are called "molecules." 〔Furthermore,〕the Tathagata declares that a world is not really a world; it is called "a world."

Subhuti,what do you think? May the Tathagata be perceived by the thirty-two physical peculiarities〔of an outstanding sage〕

No, World-honoured one, the Tathagata may not be perceived by these thirty-two marks. Wherefore? Because the Tathagata has explained that the thirty-two marks are not really such; they are called "the thirty-two marks."

Subhuti,if on the one hand a good man or a good woman sacrifices as many lives as the sand-grains of the Ganges, and on the other hand anyone receives and retains even only four lines of this Discourse,and teaches and explains them to others,the merit of the latter will be the greater.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오며 우리들이 어떻게 받들고 지녀야 하옵니까?
부처님께서는 말씀하시었다.
"이 경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니 그 이름으로써 너희들은 받들어 지녀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그 까닭은 내가 말한 반야바라밀은 그것이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단지 이름일 뿐이니라.
수보리야, 그대는 어찌 생각하는가? 여래가 법을 말한 바가 있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여 아뢰었다. "세존이시여,여래께서는 말씀하신 바가 없으십니다."
"수보리야, 그대는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티끌의 수가 많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했다."엄청나게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여래는 모든 티끌이 티끌이 아니라, 그 이름이 티끌이라고 말하였으며 또한 세계도 세계라 아니라 그 이름을 세계라고 말하였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외모로서 여래를 알아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32상만 보고는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32상은 그 이름이 32상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만약에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저 항하의 모래 수만큼이나 많은 몸과 목숨을 바쳐 보시했더라도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이것을 남을 위해 설명해 준다면, 이복이 훨씬 더 많다."

 

 

이 장에서 수보리는 이 가르침에 어떤 이름을 붙여 이해 하고 싶어 합니다.

그런데 부처님은 진리는 이름이 없다고 이미 말씀하셨고,

그래서 부득불 금강반야바라밀이라고 이름 지었지만 이름일 뿐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불교라고 하지만 불교라는 것도 없고, 불교신자라는 것도 없고 나의 가르침이라는 것도 없다.

여래의 가르침이라는 것도 따로 없다고 하십니다.

본래 공한 마음을 여실히 보는 것이 진정한 가르침이라네요.

모든 복이 공하다는 것,공하지만 그래도 가장 수승한 복은 한 사람을 망상으로 부터 자유롭게 해 주는 것임을 아는 것이 바로 부처님의 가르침이라는 거죠.

이 가르침을 알면 되지 그것에 따로 이름을 붙일 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십니다.

부처님은 인간이 성취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바라밀다(완성)는 바로 지혜이고 이것이 가장 높은 것이다. 육바라밀 모두 다 중요하지만 지혜는 통찰력이 있어서 다른 다섯가지 바라밀을 자유 자제로 활용할 수 있다고 하시는 것입니다. 지혜가 없는 보시는 올바를 보시가 아니며, 지혜 없는 정진도 아무 의미가 없다. 그러나 이런 가장 높은 지혜라도 사실을 가장 높은 것이 아니라고 하십니다. 그러니 이 가장 높은 것도 버리라는 것입니다. 이름도 붙이지 말고 다 버리고  '오직 하라' 입니다.

온 우주의 본성을 보는 통찰력, 이러한 지혜를 얻으면 이것이 더 큰 공덕이라는 것입니다,

지혜를 위해서 사는 삶! 이것이 가장 큰 공덕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