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금강경

제4분-Even the Most Beneficent Practices are Relative

흐르는물처럼~ 2008. 10. 17. 15:30

 

Furthermore,Subhuti,in the practice of charity a Bodhisattva should be detached. That is to say,he should practise charity without regard to appearances;without regar to sound,odour, touch, flavour or any quality. Subhuti, thus should the Bodhisattva practise charity without attachment. Wherefore? In such a case his merit is incalculable. Subhuti,what do you think? Can you measure all the space extending eastward? No,World-honoured one,I cannot.

Then can you, Subhuti, measure all the space extending southward,westward,northward, or in any other direction, including nadir and zenith? No, World-honoured one, I cannot. Well, Subhuti, equally incalculable is the merit of the Bodhisattva who practises charity without any attachment to appearances. Subhuti,Bodhisattvas should persevere one-pointedly in this instruction.


다시 또 수보리여 보살은 마땅히 법에 머무름이 없이 보시를 해야 한다
형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행하며 소리 향기 맛 감촉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행한다
수보리여 보살은 마땅히 이렇게 보시하며 상(겉모습)에 머물지 않아야 한다.
무슨 까닭인가?
만약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은 그 양을 헤아릴수 없이 많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동쪽 허공의 양을 잴수 있겠는가? 불가능합니다 세존
수보리여 남쪽 서쪽 북쪽 사방과 위 아래의 허공의 양을 잴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여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하면 그 복덕 또한 이와 같이 잴수 없이 많은 것이다.
보살은 마땅히 가르침을 받은 대로 머물러야 하느니라

 

이 장에서는 보살은 아무상에도 집착하지 않고 보살행(보시)를 해야한다.

집착과 기대를 가지면 고통이 생긴다.

집착과 기대없이 보시를 하면 어던것을 얻는 것이 아니라 모두를 다 얻는것이다.

개달음이 가장 큰 복덕이다. 라고 말씀하고 계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