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금강경

제6분-Rare is True Faith

흐르는물처럼~ 2008. 10. 21. 13:49

Subhuti said to Buddha: World-honoured one, will there always be men who will truly believe after coming to hear these teachings?

Buddha answered: Subhuti,do not utter such words! At the end of the last five-hundred-year period following the passing of the Tathagata,there will be self-controlled men,rooted in merit,coming to hear these teachings,who will be inspired with belief. But you should realize that such men have not strenghtened their root of merit under just one Buddha,or two Buddhas,or three,or four,or five Buddhas,but under countless Buddhas; and their merit is of every kind. Such men,coming to hear these teachings,will have an immediate uprising of pure faith, Subhuti; and the Tathagata will recognize them. Yes, He will clearly perceive all these of pure heart,and the magnitude of their moral excellences. Wherefore? It is because such men will not fall back to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a being, or a separated individuality. They will neither fall back to cherishing the idea of things as having intrinsic qualities,nor even of things as devoid of intrinsic qualities. Wherefore? Because if such men allowed their minds to grasp and hold on to anything they would be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and if they grasped and held on to the notion of things as having intrinsic qualities they would be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Likewise,if they grasped and held on to the notion of things as devoid of intrinsic qualities they would be cherishing the idea of an ego-entity,a personality,a being,or a separated individuality. So you should not be attached to things as

being possessed of,or devoid of,intrinsic qualities.

This is the reason why the Tathagata always teaches this saying: My teaching of the Good Law is to be likened unto a raft. The Buddha-teaching must be relinquished; how much more so misteaching!

 

수보리가 부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먼 훗날에 중생들이 이 가르침을 듣고서 참다운 믿음이 생기겠습니까?"
부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되,그런말을 하지 말라. 여래가 이 세상을 떠난 뒤 5백세가 지나가도 계를 지니고 복을 닦는 자가 있으면 능히 믿는 마음을 일으키고 그것을 진실이라고 믿게 될 것이다. 그대는 이사람이 한분, 두분, 세분, 네분, 다섯 분의 부처님뿐만 아니라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부처님 밑에서 갖가지 선근을 심었기 때문에, 이 경전을 듣고 보거나 잠깐 생각만 해도 청정한 마음을 일으킨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수보리여! 여래는 그들이 모두 이렇게 한없는 복을 받을 것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느니라.
왜냐하면 그들은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법상도 없고 또 비법상도 없기 때문이니라.
중생들이 만약 마음에 상이 있으면 공 아상,인상, 중생상, 수자상에 얽매이게 될 것이다.

만약 법상에 집착하면 곧 아,인, 중생, 수자에 집착할 것이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비법상을 갖는 다면 아, 인 중생, 수자에 집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마땅히 법을 취하지도 말고 법이 아닌 것도 취하지도 말아야 한다.그런 뜻에서 여래는 항상 말한다. 그대들 비구는 내 설법이 뗏목의 비유와 같다는 것을 알라.

법도 버려야 하거는 하물려 법이 아니 것이랴?"


 

우리가 금강경을 읽고 믿음이 생기고, 부처님과의 믿음이 생기는 것은 우연한 것이 아니다.

그 이전부터 이미 많은 스승, 부처님과의 인연이 있었기 때문이다.깊고 깊은 인연이 있었던 것이다.

아주 오래된 인연들이 서로 만나는 것이다. 단지 10분간의 법문을 듣고 믿음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장에서는 금강경은 강을 거너는 뗏목과 같다. 즉 강을 건너고 나면 뗏목은 버려야 한다.  상을 버려야 한다는 뜻이다. '나'라는 상에서 자유로워져야 하며 모두 내려 놓아야 한다.

아상 ,인상, 중생상에 조금이라도 집착하면 보살이 아니다.

차별없이 모두가 하나이기 때문이다.